본문 바로가기
오늘의궁금증

공무원 시간선택제 유형 및 임기제공무원 범위

by 오늘돋보기 2025. 1. 27.
반응형

 

공무원의 유형 중에는 시간선택제 공무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를 쉽게 해석하자면 공무원의 통상적 근무시간인 주 40시간 / 일 8시간 보다 짧게 근무하는 공무원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다시 3가지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시간선택제 공무원에 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간선택제 공무원 유형

 

먼저 시간선택제 공무원 유형은 다음과 같이 분류가 됩니다.

  • 시간선택제 전환 공무원
  •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
  • 시간선택제 임기제 공무원

 

그리고 임기제 공무원은 다시 일반 임기제와 전문임기제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2. 시간선택제 전환 공무원

시간선택제 전환 공무원은 전일제 공무원의 시간선택제 전환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본래 주 30시간, 일 8시간 동안 근무를 하던 공무원이 본인의 필요로 인하여 시간선택제 근무를 신청해 근무하는 제도라 볼 수 있습니다.

최소 3개월 이상, 최대 사용기간은 제한이 없고 1일 최소 3시간 이상, 주당 15-35시간 근무를 합니다.

또한 격일제가 가능하지만 격주제나 격월제는 불가한 현실입니다.

참고로 별정직 공무원의 경우에도 시간선택제 근무 신청이 가능합니다.

 

 

 

 

3.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의 경우에는 시간선택제로 일반직 공무원을 채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종일 근무하는 건 곤란한 인재들에게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통상적 근무시간보다는 짧은 시간으로 근무를 하면서 정년이 보장되는 공무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시간선택제 채용 공무원은 주 5일 오전이나 오후 근무를 하거나 격일제가 가능한데 원칙적으로 보수는 근무시간과 비례합니다.

그리고 복리후생적 수당은 전일제와 동일하며 연금 또한 공무원 연금으로 가입합니다.

이 공무원은 경쟁에 따른 신규 채용 절차를 거쳐야 하며 임용권자가 15-35시간 범위에서 근무시간을 지정하게 됩니다.

 

 

 

 

4. 시간선택제 임기제 공무원

시간선택제 임기제 공무원의 경우에는 전문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하거나 한시적 사업 수행, 시간선택제로 전환한 사람의 업무 대체 등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채용이 됩니다.

근무 시간은 1일 최소 3시간 이상, 주당 15-35시간 근무를 하는데 이 안에서도 일반임기제와 전문임기제로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일반 임기제라면 법령에 규정된 경력직 공무원 정원에 해당하는 직위에 임용되는 것이고 전문 임기제라면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 기술 등이 요구되는 업무 수행을 위해 임용되는 임기제라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