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검사를 하게 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소견 중에 여성들의 마음을 덜컥 내려 앉게 하는 결과가 바로 비정형편평상피세포와 자궁반응성세포변화라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처음 자궁경부암반응성세포변화라는 소견을 듣게 되면 지금 당장 어떻게 해야 하나 고민이 될 수밖에 없는데요.
오늘은 자궁경부비정형세포를 비롯하여 반응성세포변화에 관련된 구체적 의미를 파헤쳐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자궁경부 비정형세포
비정형편평상피세포는 아스쿠스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세포 모양이 정상적인 범주에서 벗어나 변형된 것이라 볼 수 있어요.
그렇다고 자궁경부비정형세포가 암으로 발전할 단계라는 것을 정확하게 시사하고 있는 건 아닌데요.
비정형편평상피세포 중에서 약 80% 가량은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확인할 수 있는 자궁경부염에 해당하지만 나머지 20%는 이형성증과 연관이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답니다.
이에 따라 자궁경부비정형세포를 확인했다면 추가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이해할 수 있는데요.
비정형편평상피세포 결과에 따라 HPV 검사를 진행하여 감염 여부를 체크해 본 다음에 양성 반응이 나올 시에는 자궁경부 세포를 채취하여 액상 세포진 검사를 하거나 조직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요.
하지만 자궁경부비정형세포에서도 주의해야 되는 상황으로는 고위험군 HPV 바이러스 양성을 확인하게 되었거나 바이러스 보유 기간이 길 때라고 할 수 있답니다.
2. 자궁경부암 반응성 세포변화
반응성세포변화 역시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자궁세포 모양이 정상이 아닌, 변형된 형태로 관찰이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요.
자궁반응성세포변화라는 결과를 받고 무작정 걱정할 건 아니라고 할 수 있어요.
자궁경부반응성세포변화는 세포 모양이 조금 변했을 뿐, 지금 당장 어떠한 문제로 이어지는 건 아니기 때문이에요.
그래도 자궁경부암반응성세포변화에 있어서는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데요.
반응성세포변화 결과를 받았다면 가능한 한 6개월 이내 재검사를 꼭 실시하여야 한답니다.
자궁경부반응성세포변화가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생각보다 다양한데요.
우선 성관계나 임신 및 출산 등의 영향을 받아 자궁반응성세포변화가 나타날 수 있어요.
또한 면역력이 저하되거나 심하게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에도 자궁경부반응성세포변화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자궁경부암반응성세포변화
반응성세포변화는 때에 따라서는 적절한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는데요.
우선 자궁반응성세포변화에 대한 치료로는 호르몬 약으로 조절을 하거나 소독 치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답니다.
때로는 자궁경부반응성세포변화 소견을 받았더라도 자연적으로 회복이 되는 경우도 있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자궁경부암반응성세포변화 소견을 받았다면 산부인과에 내원하시어 정밀 진단을 우선적으로 실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답니다.
'오늘의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세대 피임약 마이보라 복용법 및 부작용 (0) | 2025.04.03 |
---|---|
위내시경 금식시간 지침 및 주의사항 (1) | 2025.04.02 |
익일, 금일, 명일 이해하기 쉬운 예문 모음zip (0) | 2025.04.01 |
급성 충수염 초기증상 및 맹장 터지는 이유(여자 맹장 위치) (1) | 2025.04.01 |
2025 아재개그 퀴즈 25가지 모음 zip (3) | 2025.03.31 |